군함도, 내국인, 외국인 분리해 해설 진행

군함도. [박정우 기자]
군함도. [박정우 기자]

[일요서울 | 박정우 기자]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현장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지옥섬’으로 불리는 강제노동 현장인 군함도에 이어 사도광산 등재까지 그 어느 부분에서도 ‘강제동원 피해 사실’에 대한 내용은 살펴볼 수 없었다. 국회는 우리 정부의 대응에 관해 제기된 의혹을 밝혀야 한다고 비판했다.

국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사도광산 등재 결정에 앞서 여야 재석의원 전원 찬성으로,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철회 및 일본 근대산업시설 유네스코 권고 이행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다. 결의안은 일본 정부가 2015년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 국제사회와 한 약속을 지금까지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 기초했다.

일본 정부는 군함도 등재 결정 직후부터 강제동원·강제노동을 부인했다. 이후 국제사회를 대상으로도 거듭 여론전을 펼쳤다. 이번 세계유산위원회에서도 일본 대표는 강제노동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고,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용어를 사용해 강제성을 재차 부정한 바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이를 용인하고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불법 식민지배와 강제동원의 피해국인 ‘대한민국 정부’로서 합당한 대응을 촉구한 국회의 결정에 정면으로 반할 뿐만 아니라 국민적 상식과 보편적 역사 인식에서 크게 벗어났고, 매우 잘못된 일”이라고 거세게 비판했다.

여전한 정부의 의문과 군함도 사례

우 의장은 국회를 대표에 정부에 두 가지를 요구했다. 첫째로 사도광산 등재를 둘러싼 외교협상 과정과 내용, 전모 공개다. 우 의장은 “모르고 등재에 동의했다면 외교협상의 실패이고, 알고도 동의했다면 더 큰 문제”라며 “전시내용에 대한 사전합의가 있었다는 일본언론의 보도를 비롯해 여러 의문이 제기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둘째로 강제동원 피해자 명부 제공을 일본 정부에 요청하라는 것이다. 우 의장은 “숱한 사람들이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강제로 노동자, 군인․군속으로 끌려갔다. 굶고 매 맞고 다치고 죽은 사람이 부지기수였고, 아직 돌아오지 못한 희생자 유골도 있다”라며 “그렇지만 누가 어디서 얼마나 어디로 끌려갔는지, 어디서 어떻게 희생당했는지, 그 실태와 진실은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다”라고 피력했다.

지난 7일 실제 군함도를 방문한 역사단체 기억의봄 연구원 고 모(27, 여) 씨는 취재진에게 “군함도 현장에서도 여전히 역사왜곡이 펼쳐지고 있다”라며 “애당초 내국인과 외국인을 분리한 후 다른 해설을 진행하고, 외국인을 대상으로도 고임금 일자리라 한국인이 몰렸다는 엉터리 해설을 자행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군함도에 이어 사도광산까지 외교 참사의 연속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