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 위메프’ 사태, 업계 화두는 1조3000억 원 자금 문제

쿠팡이 티몬·위메프 사태를 인해 멤버십 요금 상승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회원이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창환 기자]
쿠팡이 티몬·위메프 사태를 인해 멤버십 요금 상승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회원이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창환 기자]

[일요서울 | 이창환 기자] 국내 e커머스 대기업 티몬·위메프 사태로 업계를 향한 불신이 팽배한 가운데 피해 소비자들이 다음으로 이용할 e커머스를 찾아 헤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멤버십 요금을 올린 쿠팡의 경우, 요금 상승으로 기존 회원들이 이탈할 것을 우려했으나 이번 사태와 맞물리며 신규 회원도 늘 수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더욱이 중소벤처기업부가 위메프·티몬에 입점해 정산을 받지 못하고 피해를 입은 업체들을 위한 활로를 마련한 가운데 쿠팡이 협업대상으로 포함됐다.

중소벤처기업부, 피해 입주업체 관련 정부 대안은 네이버·쿠팡
멤버십 비용 58% 인상한 ‘쿠팡’ 입점하는 티몬·위메프 피해업체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8월28일부터 e커머스 플랫폼 입점을 위한 피해 판매업자 모집에 나섰다. 이른바 티몬·위메프 사태의 피해업체들에게 새로운 활로를 열어주기 위한 것으로 최대 매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추석명절을 앞두고 빠르게 진행 중이다. 

이번 지원 방안은 위메프나 티몬에 입점해 미정산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들에게 최대한 빠르게 매출 재창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업 대상 플랫폼은 쿠팡(로켓배송), 네이버, 그립, 도매꾹, 롯데온, 우체국쇼핑몰, 11번가, G마켓·옥션, H몰 등 9개 업체다.

이 가운데 국내 e커머스 분야 1위 기업인 쿠팡이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특히 쿠팡의 로켓배송이 포함되는 소비자 회원제 ‘와우’ 멤버십의 월 이용요금이 올해 들어 58%나 오른 가운데 진행되는 이번 대책에 소비자 반응이 어떨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국내 e커머스 1위 기업인 쿠팡은 지난 4월 맴버십 서비스 ‘와우’의 신규 가입비용을 기존 4900원 대비 3000원 상승한 7900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힌 바 있다. 기존 회원들은 8월부터 인상된 요금을 적용키로 했는데 그 시기가 이른바 ‘티몬·위메프 사태’와 맞물리면서, 또 다른 토종 e커머스 기업의 몰락을 염려하는 시각이 있다. 

쿠팡 멤버십 요금 인상에도 소비자 늘어날까

쿠팡 와우 멤버십을 이용하다 최근 탈퇴한 A씨는 “멤버십 비용이 2900원이던 시절부터 이용했다”라면서 “4900원으로 오를 때까지 유지해왔지만, 이번에 7900원으로 올리기로 결정한 이후로 탈퇴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쿠팡에 입점된 제품도 상대적으로 많고, 다른 앱이 판매하는 제품보다 배송이 빨라서 써왔다”라면서도 “가격 상승 비율을 보면서, 더 이상을 쓸 수 없겠다는 생각을 하게됐다”고 덧붙였다. 

A씨는 “국내 업체인 e커머스 기업 B업체를 이용하고 있는데 현재는 회비가 1900원으로 저렴하고, 쿠폰 제공 비율도 높은데다 소규모의 특이한 물품도 많아 이용한다”라면서도 “고급화전략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긴 하는데 언제 가격이 오를지... (걱정된다)”라고 답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티몬·위메프 사태가 쿠팡의 멤버십 인상 시기가 맞물리면서 쿠팡에게는 ‘뜻밖의 기회’가 됐다는 풀이가 나오는 이유다. 티몬과 위메프에 피해 입은 소비자가 가격이 오른 회원제라도 안정적인 쿠팡으로 갈 수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8월7일 경제관계 장관회의에서 ‘위메프·티몬 사태 추가 대응방안 및 제도개선 방향’을 발표했다. 해당 대책은 소비자 및 판매자를 피해로부터 신속히 구제하기 위한 추가 지원방안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 제도개선을 방향성을 정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피해 소비자의 신속한 구제와 일반상품 환불처리가 빠르게 완료됐다. 

특히 이번 사태와 같은 피해가 또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e커머스(유통)가 결제대행(금융) 역할까지 하는 새로운 지급결제 유형에 대한 규율·관리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e커머스 업체가 정산기한을 늘리고 판매대금을 유동성 수단으로 활용해 e커머스의 부실이 판매자·소비자에게 전이되는 부작용을 막고, 전자상거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만 피해 규모가 1.3조 원에 이르는 입주업체들의 미정산 금액을 해결할 뚜렷한 방안은 아직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